경영 및 인사 관련_우리 직원들은 하루에 3,000번의 실수를 한다., SMART한 목표 설정, 아이디어 Killing 하는 법, 내가 성공한 3가지 이유, 잠자는 능력깨워 팀워크로 곱게 빚어내기
우리 직원들은 하루에 3,000번의 실수를 한다.>○ 다우 케미칼 초기 시절, 한 사람이 창립자 허버트 다우를 찾아와서 일자리를 청했다.○ 그가 자신의 능력을 강조하면서 자신은 일을 하면서 한번도 실수를 범한 적이 없었다고 하자.○ “우리 회사는 3,000명의 직원들이 있소. 평균적으로 그들은 매일 3,000번의 실수를 한다오. 나는 완벽한 사람을 고용해서 그들을 모욕할 생각이 없소”라고 말하면서 돌려 보냈다. 이어지는 글>- 유독 실수에 대해서 우리나라와 서양 사람들 간에 인식의 차이가 큰것 같습니다.- 이제 우리도 실수에 대한 관용, 실수를 통한 학습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 하겠습니다.- 그럴 때만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없이 과감하게 도전하는 문화 배양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한 목표 설정>○..
2024. 7. 15.
경영 및 인사 관련_보스는 단 한 사람, 꽃밭에서 꽃을 가꾸는 사람, 어떻게 고객을 감동시킬 것인가?, 노드스트롬의 제 1규칙, 덩치 큰 기업과 빠른 기업
보스는 단 한 사람>○ “보스는 단 한 사람, 고객뿐이다. 고객은 회장에서부터 하부의 구성원들까지 모두 해고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고객이 다른 곳에 돈을 쓰면, 결국 우리는 일자리를 모두 잃을 수밖에 없다.” - 샘 월튼, 월마트 창립자 겸 전 CEO 이어지는 글>- 세계 최고 매출 기업, 월 마트가 그냥 만들어진 회사가 아니라는 것을 위 한마디만 보더라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이와 같은 생각을 처음부터 끝까지 고수할 수 있느냐 하는 것과, 조직의 모든 이가 이와 같은 철학을 공유하는가에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꽃밭에서 꽃을 가꾸는 사람>○ "인적자원이 가장 중요한 미래의 지식기반 경제에서 경영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인적자원의 개발, 즉 Empowerment이다.○ 경영자..
2024. 7. 15.
경영 및 인사 관련_바람직하지 않은 경영자로 인한 문제, 권위주의와 거리감, 경영의 신, 마쓰시타 고노스케, 완전 무결한(?) 직장생활, 5분 내에 흥미를 보이는 비전
바람직하지 않은 경영자로 인한 문제>○ 조직내 지도적인 위치에 업무 성과가 저조한 C등급 실적 수행자를 그대로 놔두게 되면, 모든 구성원들의 성과 수준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것은 성과를 중시하는 조직 문화를 만들려는 기업에게는 분명히 위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 멕킨지, Beth Axelrod 외 이어지는 글>- C등급 실적 수행자는 또 다른 C등급 실적 수행자를 만들어 내며, 그런 사람들이 계속 조직 내에 남아있게 되면 주변 사람들의 사기를 떨어뜨리게 됩니다.- 유능한 종업원 입장에서는 그 기업이 장기적으로 같이 할 만큼 매력적이지 않다고 생각해 조직을 떠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권위주의와 거리감>○ 권위주의적인 조직일수록 구성원과 관리자와의 관계, 임원과의 관계, 그리고 최고경영자..
2024.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