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노무 주요 질의회시 및 업무 가이드 총정리

경영 및 인사 관련_멀리 보는 습관을 기르자 !!, 카트라이더 대박 신화의 비밀, 혁신가는 보수적인 사람이다, 주인의식의 마력, 기업가 정신이 충만한 조직 만들기

by 행복드림공간 2024. 8. 15.
반응형

<HBIZ_STORY1 : 멀리 보는 습관을 기르자 !!>

멀리 보는 습관을 기르자 !!

○ “사람들은 맹인으로 태어난 것 보다 더 불행한 것이 뭐냐고 나에게 물어온다. 그럴 때마다 나는 시력은 있되 비전이 없는 것’이라고 답한다." 비전의 중요성을 강조한 헬렌 켈러의 말입니다.

 

세상을 바꾸는 위대한 비전은 멀리 보는 습관에서 나옵니다.

연구 결과, 우리 사회에서 가장 성공적인 사람은 장기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들이었다고 합니다.

성공한 사람들은 10, 20년 후의 미래를 줄곧 생각해 왔으며 이러한 긴 시간적 수평선 위에서 필요한 의사 결정을 해온 사람들입니다. (에드워드 밴필드, 하버드대학 교수)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은 “눈앞을 보기 때문에 멀미를 느끼게 된다. 몇 백 킬로 앞을 보라. 바다는 기름을 제거한 것처럼 평온하다. 나는 그런 장소에 서서 오늘을 지켜보고 사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전혀 걱정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으며,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은 “미래 관점에서 현재를 보는 습관이 나의 성공 비결이다. 이외에 균형 감각, 소수 게임 (남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보기), 즉 원칙을 염두에 두고 밝을 때는 그림자를 어두울 때는 빛을 볼 수 있는 인식의 전환이 또 다른 성공 요인이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이어지는 글>

- 혼란스러울수록 멀리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역사나 경영 모든 것에는 항상 굴곡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높은 데서, 그리고 멀리 떨어져서 보게 되면 변화무쌍한 세상도 질서 정연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현장을 제대로 파악함과 동시에 멀리 떨어져서 미래를 내다보는 능력을 겸비해야만 성공하는 리더의 반열에 오를 수 있습니다.

 

 

 

<HBIZ_STORY2 : 카트라이더 대박 신화의 비밀>

○ 카트라이더 대박 신화의 비밀

○ 게임 개발할 때 뭘 만들어야 할 지 보다는 돈을 벌어야겠다는 생각부터 한 적이 있다.

○ 그러나 돈을 벌겠다는 게 목표가 되면 이상하게 돈을 벌 수가 없었다.

 

○ 오히려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줘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어떻게 하면 즐거움을 줄까만 고민했더니 대박이 터졌다.

 

- 정영석 넥슨 카트라이더 개발실장 ('대한민국 Only 1 신시장의 개척자들’에서 인용)

 

<이어지는 글>

- 정 실장은 처음 게임을 개발할 때 배고픔을 많이 느껴 돈 버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고 합니다.

- 그러나 그가 궁극적으로 깨달은 것은

- ‘돈이 목표가 아니라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느냐가 목표가 돼야 한다는 사실’이라 합니다.

 

 

 

<HBIZ_STORY3 : 혁신가는 보수적인 사람이다>

○ 혁신가는 보수적인 사람이다

○ 혁신에는 리스크가 따른다.

○ 그러나 혁신(Innovation)을 행하지 않으면 리스크가 더 크다.

○ 이노베이터는 리스크를 확실하게 하고, 그것을 최소한으로 한다.

○ 따라서 이노베이터는 보수적인 사람이다.

 

- 피터 드러커

 

<이어지는 글>

- 변화의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습니다.

- 가만히 있으면 주변의 모든 변화가 어지럽게 느껴 집니다.

 

- 그러나 변화를 즐기는 사람에게는 안정이 오히려 두려움의 대상입니다.

- 변화의 소용돌이와 혼란 속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조직과 개인이 21세기의 승자가 됩니다.

 

 

 

<HBIZ_STORY4 : 주인의식의 마력>

○ 주인의식의 마력

○ 양편에서 각각 두 사람이 줄다리기를 하면 이들은 한 사람씩 줄다리기를 하는 것에 비해 93%의 힘을 쏟는다.

○ 세 사람이 되면 두 사람 때와 비교해 85%, 그리고 팀 당 8명이 되면 그 수치는 64%로 떨어진다.

 

○ 팀 멤버가 8명만 되도 각자가 쏟을 수 있는 총력의 49%만 쏟게 되는 것이다.

 

- 뉴욕대 링겔만 교수 (GE Korea 이채욱 회장 강연중)

 

<이어지는 글>

- 일반적으로 하나 더하기 하나는 둘 이상이 됩니다(시너지 효과)

- 그러나 사람이 늘어나는 만큼 생산성이 비례해서 높아지지 않는 경험도 많이 하게 됩니다.

- 소위 역(-)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 문제의 핵심은 주인의식에 있습니다.

- 구성원 모두 주인의식을 갖게 하면 그 효과는 놀랠 만큼 커집니다.

 

 

 

<HBIZ_STORY5 : 기업가 정신이 충만한 조직 만들기>

○ 기업가 정신이 충만한 조직 만들기

○ “미국이 기업가 정신을 가장 잘 실천하는 나라라는 주장에 동의하십니까?”

○ “그것은 아주 위험한 착각이다. 기업가 정신을 가장 잘 실천하는 나라는 의심할 여지없이 한국이다” ○ 다른 사람이 아닌 피터 드러커의 주장입니다.

 

○ 우리나라, 대한민국이 세계 1등 국가가 될 수 밖에 없는 여러 이유 중 하나입니다.

 

○ 피터 드러커 교수가 언급한 기업가 정신에 일부 내용을 덧 붙여 정리한 자료를 보내드립니다.

○ 기업가 정신으로 충만한 개인, 조직, 사회, 국가가 될 수 있기를 간절히 희망합니다.

 

<기업가 정신>

 

○ 기업가 정신은 현재 시점에서 장래를 선취하는 정신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환경 변화 속에서 위협을 느끼고 있을 때, 그와 같은 변화 속에서 기회를 식별하는 정신이다.

 

○ 기업가는 안정적일 때 오히려 위기를 느끼는 사람이다. 고요 속에서 위기를 느끼고, 그러한 위기 속에서의 기회를 느끼고, 현재를 위험 속으로 끌고 가는 사람이다.

 

○ 훌륭한 내일을 창조하기 위해서 오늘의 안정된 상태를 주체적이며 의도적으로 파괴하는, 창조적 파괴가 기업가의 역할이다.

 

○ 기업가는 오늘을 성공의 날로 만드는 것과 동시에 오늘의 희생을 통해서 보다 훌륭한 내일을 만들어 간다. 비연속적 변화의 시대에는 오늘을 부정하는 것이 내일은 곧 현실이 된다.

 

○ 풍요로움에 익숙해져 안주한다면 조직은 느슨해지고 약해진다. 기업가의 마지막 임무는 자신을 떠나 회사 전체에 헝그리 정신과 기업가 정신을 뿌리박도록 하는 것이다.

 

○ 사업이란 결국 도박이다. 모든 사업은 현재의 자원을 미래의 가능성을 향해 투자하는 것이다. 모든 사업의 시도나 계획은 암흑 속으로의 비약이다.

 

○ 사업에 관한 결단은 인간을 과거에 묶어 놓는 것이 아니라, 불확실한 미래를 위해 일부러 한발 내딛게 하는 것이다.

○ 불안하지만 용기와 신념을 가지고 암흑 속의 미래에 자신을 일부러 던져 넣는 것이 기업가 정신이다.

 

<이어지는 글>

- 성공의 탄생은 실패라고 ‘생각되는’ 것에서 좌절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비롯됩니다. 지금 실패라고 생각되는 것이, 내일의 성공을 위한 발판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상으로 경영 및 인사 관련_멀리 보는 습관을 기르자 !!, 카트라이더 대박 신화의 비밀, 혁신가는 보수적인 사람이다, 주인의식의 마력, 기업가 정신이 충만한 조직 만들기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본 글들은 사단법인 행복한 성공, 행복한 경영이야기의 내용을 5편 내외를 묶어서 공유하기 위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