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 생활 활용 위한 법률 정보&제도 정리

생활법률정보_안전한 출퇴근길_건강 9단! 걸어서 출퇴근하기_걸어서 출퇴근하기, 올바른 걷기방법

by 행복드림공간 2025. 3. 6.
반응형

<걸어서 출퇴근하기>

 

[걸어서 출퇴근하기]

 

- 직장생활을 하면서 일부러 시간을 내서 운동하기란 참 쉽지 않은 듯합니다. 그래서인지 요즘엔 걸출족(걸어서 출퇴근하는 하는 사람들), 운도녀(운동화를 신고 출퇴근하는 도시여자)들이 참 많아졌습니다.

 

- 걸어서 출퇴근하면 환경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건강증진에도 큰 도움이 되는데요. 걷기의 운동효과, 궁금하시죠?

 

- 신체활동이 부족한 사람은 고혈압, 2형 당뇨병, 심뇌혈관 질환, 대장암, 유방암, 골다공증, 근감소증, 비만 등의 발생 위험이 눂고, 우울증 등 정신건강 저하의 위험에 노출된다고 하네요.

 

- 또한,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3.8%의 치매가 신체활동 부족과 연관이 있어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치매를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고 해요.

 

 

 

<규칙적인 걷기의 10대 효과>

 

[규칙적인 걷기의 10대 효과]
[규칙적인 걷기의 10대 효과]

[규칙적인 걷기의 10대 효과]

<출처: 보건복지부·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국인을 위한 걷기 가이드라인, 2020, 5~6>

 

 

 

<올바른 걷기방법>

 

[얼마나 걸어야 하나요?]

 

- 한국인을 위한 신체활동 지침서에서는 건강증진을 위해 성인의 경우 일주일에 150분 이상의 중강도 신체활동이나 75분 이상의 고강도 신체활동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또한, 고강도 신체활동의 1분은 중강도 신체활동의 2분과 같기 때문에, 중강도 신체활동과 고강도 신체활동을 섞어서 각 활동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신체활동을 해도 됩니다.

 

- “빠르게 걷기”는 중강도 신체활동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일주일에 150분 이상 빠르게 걷기를 실천합니다. 예를 들어 하루에 30분 이상 빠르게 걷기를 주 5일 이상 실천할 수 있습니다.

 

- “매우 빠르게 걷기”는 고강도 신체활동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일주일에 75분 이상 매우 빠르게 걷기를 실천합니다. 예를들어 하루에 15분 이상 매우 빠르게 걷기를주 5일 이상실천할수 있습니다.

 

- 빠르게 걷기와 매우 빠르게 걷기를 섞어서 실천할 경우 매우 빠르게 걷기 1분이 빠르게 걷기 2분임을 인지하고 각 속도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걸으면 됩니다.

 

 

 

[올바른 자세로 걷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바른 자세로 걸으면 깊은 호흡(심호흡)이 가능하고 어깨와 목의 긴장을 풀어주며 허리나 골반의 통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올바른 팔과 다리의 동작을 통해 앞으로 힘차게 나아갈 수 있습니다. 산책로나 운동장 혹은 러닝머신 위에서 걸을 때도 올바른 자세로 걸어야 합니다.

 

[올바른 걷기 자세를 나타내는 그림]
[올바른 걷기 자세를 나타내는 그림]

[올바른 걷기 자세를 나타내는 그림]

<출처: 보건복지부·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국인을 위한 걷기 가이드라인, 2020, 9>

 

※ 걷기방법, 걷기효과 등 출퇴근길 걷기에 도움이 될 만한 보다 다양한 정보는 <한국건강증진개발원-자료실-홍보자료-한국인을 위한 걷기 가이드라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 기관 주요 홈페이지 링크 및 마치는 글>

 

이상으로 생활법률정보_안전한 출퇴근길_건강 9! 걸어서 출퇴근하기_걸어서 출퇴근하기, 올바른 걷기방법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라며, 일상생활과 관련된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등은 정부24 홈페이지 및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등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민원처리 및 민원서류 발급]

정부24 홈페이지 바로가기

 

안전Dream아동여성장애인 경찰지원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국민권익위원회 공익신고하기 바로가기

 

 

[법령 질의]

법제처 국가법령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국민신문고 홈페이지 바로가기

 

상기 홈페이지의 중단의 “법제처는 우리나라의 모든 법령정보를 제공합니다.” 아래 검색창에서 “현행법령” 옆의 화살표를 누르면 법령부터 판례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정보를 바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상기 내용은 법제처 생활법령정보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반응형